중펜 핵심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왕하오 스타일 분석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이번엔 용품 리뷰 글은 아니고 선수 분석 글입니다. 보통 중펜을 시작하시게 되면 자신이 추구하는 스타일을 정하게 됩니다.화려한 풋워크를 가진 쉬신처럼 멋지게 치고 싶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엄청난 서브와 감각, 그리고 포핸드 위주로 게임을 풀어가는 마린처럼 치고 싶다고 생각하기도 하고,이면타법을 완성했다고 평가되는 왕하오처럼 치고 싶다고 생각하기도 하죠. 그 중에서 저는 왕하오 선수 스타일을 추구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아래 영상들을 벌써 십수번 보면서- 그립은 어떻게 잡아야하는지- 서브는 어떻게 넣는게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지- 리시브 시 스탠스는 어떠해야 하는지등에 대해 조금이라도 더 배울 수 있도록 노력중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rrIDg.. 중펜 자료 공유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정말 좋은 자료를 찾아서 공유드립니다. 쉬신 선수는 은퇴 이후 탁구장도 새로 열고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탁구 강의도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아쉽게도 유튜브에서 방송을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자료 접근성이 좋지 않습니다만...감사하게도 어떤 분께서 그 영상을 영어로 번역해서 짤막짤막하게 올려주시고 있습니다. 정말 디테일하게 알려주기 저에겐 큰 도움이 되고 있는데, 다른 분들께도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P.S. 쉬신 뿐만 아니라 장지커, 팡보 등 온라인 강의 자료도 다수 올라오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kakaluser/playlists 중펜의 핵심 - 장단점 저는 단순한 이유로 중펜에 입문했습니다. 어릴 때 일본식 펜홀더를 배워봐서 그나마 조금 익숙한게 펜홀더였고, 해외 출장 가 있을 때 탁구를 치려고 라켓을 찾아보니 일본식 펜홀더는 그 나라에서 아예 판매하지 않고 그나마 중펜을 팔아서 호기심에 시작하게 됐습니다. 이렇게 단순한 이유기는 하지만 치다보니 그 매력에 빠져들어 앞으로도 일펜이나 쉐이크로 바꿀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제 개인적인 이유와는 별개로 새롭게 중펜을 시도하시려는 분들께서는 중펜의 장단점을 알고 싶을 것 같아서 나름대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장점 일본식 펜홀더에 비해 백핸드가 강력하다 일펜도 강력한 백 푸시가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일펜은 거의 모든 공을 포핸드로 잡아야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백 드라이브도 가능하긴 한데 개인적으로 일펜 백드라이.. 중펜의 핵심 - 면 중펜의 핵심 - 그립편에 이어 면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우선 중펜에서 백핸드 사용시 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유훈석 코치님의 영상을 보시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wuIs6z0M_c https://www.youtube.com/watch?v=Ho0G6lSqIOI 위 영상을 요약하자면 중펜에서 이면의 비중을 높이고 싶다면 아래 그림처럼 면을 세워줘야(살려줘야) 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그립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면을 살리지 못하면 백 쇼트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전면 쇼트를 많이 사용하게 되며, 백 드라이브의 경우 공의 옆면을 칠 수밖에 없게 되어 제약이 발생합니다. 제가 이번 글에서 다루고 싶은 것은 '중펜에서 면을 살리는게 중요한 건 알겠는데, .. 중펜의 핵심 - 그립편 중펜을 처음 접하게 되면 첫 스윙을 하기도 전부터 한 가지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데, 그건 바로 그립이다.쉐이크핸드나 일본식 펜홀더는 제대로 쳐보지 않아서 자세히 알고 있는건 아니지만, 쉐이크의 경우 검지의 위치라던가 일본식 펜홀더의 경우에는 쇼트 전환시 엄지의 역할 변화 등 이 두 전형에서도 그립이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중펜은 시작하기도 전에 이렇게 잡는게 맞는지 저렇게 잡는게 맞는지 헷갈린다. 더 큰 문제는 국내에서 중펜 코치 분들이 거의 없어서 누가 알려줄 수도 없는데다가, 전세계적으로 중펜을 사용하는 프로 선수도 많지 않을 뿐더러, 각 선수들마다 사용하는 그립이 또 다르기 때문에 더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이 글에서는 여기저기서 모은 중펜 그립에 관한 자료와 사견을 곁들여서 어떤 그립이, 어떤 상황에.. 이전 1 다음